“ KBS1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152회 ”
2022년 1월 8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방송
♡ 이어지다 평화의 길 ~ 강원도 인제
전체 면적이 90%가 산과 강인 산악마을, 인제...
높고 험한 산세만큼이나, 굽이굽이 요동치는 삶의 이야기가 가득하다.
한때 인제는 남한 지도에서 사라진 마을이었다.
광복 직후 38선을 경계로 일부는 이북으로, 일부는 홍천국으로 편입 되었던 것이다.
타의에 의해 남과 북으로 갈렸으니 그곳은 곧 격전장이었다.
같은 하늘 아래 다른 뜻을 가진 사람들의 매일 총구를 겨누는 동네...
그렇게 살기 위해 고향을 떠난 피란민들은 6.25전쟁 수 폐허가 된 마을을 다시 일궈내야 했다.
긴 세월이 지나 인제는 다시 옛 이룸을 찾았지만, 휴전선을 머리에 이고 다시 옛 이름을 찾았지만 휴전선을 머리에 이고 다시 옛 이름을 찾았지만, 휴전선을 머리에 이고 사는 인제 사람들에겐 지금도 그 어느 곳보다 평화가 절실하다.
늘 그 자리에 있는 산처럼, 강처럼 언제까지나 이 청정 자연 속에 머무르길 바란다.
선한 마음으로 서로를 보듬고 사는 사람들의 사는 곳, 강원도 인제로 향한다.
♡ 파란만장 인생의 맛을 담은 부부의 짜박두부
일교차가 커 콩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라는 인제...
인제읍에는 그 좋은 인제 콩으로 전통식 두부를 만드는 부부가 있다.
특히 부부가 직접 개발했다는 음식, 짜박두부는 이 집에서만 맛볼 수 있는 별미라고 한다.

이 짜박두부에 인생을 걸기까지 부부에겐 파란만장한 역경이 있었다.
오르간을 연주하며 큰 스탠드바를 운영하던 “동네 큰손”에서 복숭아 농가 일꾼으로 다시 트럭 빙어 장사로 밑천을 닦은 지난 날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새벽마다 전통식 두부를 빚어낸 부부는 결국 긴 터널 끝에서 빛을 보았다.
인생의 맑은 날에도 궃은 날에도 단 한 번도 떨어진 적이 없었다는 부부...

# 인제재래식손두부 #
주 소: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 178번길 52-10
(지 번) 인제읍 상동리 427-11
전화번호: 033-463-1858
영업시간: 10:30~20시
서로를 지탱해온 힘으로 부부는 고단했던 시절 수없이 닦아온 진심을 매일, 한상 가득 채운다.
♡ 해방 전후 격동기를 노래한 시인,박인환 문학관
1926년 태어나 시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으로 알려진 박인환 시인...
인제읍 박인환 문학관이 세워진 이곳은 시인의 생가 터이기도 하다.
# 박인환문학관 #
주 소: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 156번길 50
(지 번) 인제읍 상동리 415-1
전화 번호: 033-462-2086
관람시간: 9:30~18시
(월요일, 1월1일, 설 당일 휴무)
열한 살에 고향을 떠났지만, 그는 한평생 고향을 그리워했다고 한다.
“봄이면 진달래가 피었고/ 설악산 눈이 녹으면/ 천렵 가던 시절도 이젠 추억/ 나의 가난한 고장 인제/ 봄이여 빨리 오거라 종군기자 시절, 전쟁으로 폐허가 된 인제를 바라보며 쓴 시에는 고향에 대한 애틋한 바람이 담겨있다.
박인환 문학관에는 시인이 세상을 떠나기 전 주로 활동했던 공간들이 재현디어 있다.
해방과 전란, 시대의 소용돌이 속에서 80여편의 시를 남긴 그의 작품 세계를 따라가 본다.
강원도 인제의 이야기~
2022년 1월 8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방송하는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 인제의 이야기를 만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