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의 밥상 545회 ”
2022년 1월 13일 목요일 저녁 7시 40분 방송
# 햇볕 한 줌 밥상에 올리다
바람 한 점 햇살 한 줄기까지
알뜰히 사용하는 겨울~
겨울나기를 위한 말린 음식으로
새로운 맛의 줄거움을 찾다
바람과 볕을 받으며 인고의 시간을 버티 “말린음식” 이겨울을 무사히 보내기 위해서는 가음레 나는 풍성한 채소와 햇과일을 말려 저장해야만 했다.
과거에는 식자재를 말리는 이유가 일조량이 적어지는 겨울철을 대비해 먹을거리를 보충하는 것이었을지 몰라도 지금은 이런 말린 음식 자체의 쫄깃하고 바삭한 맛에 빠진 사람들이 있다는데...
바닷가에서는 생선이 육지에서는 메주와 고기가, 그리고 마을 집마다 제각각 말리는 시래기까지~
이번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다양한 겨울 말린 음식을 통해, 햇볕 한 줌까지 밥상 위에 올리는 선조들의 지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 스님들의 모든 나날을 책임지는 말린 음식 ~ 경기도 용인시 법륜사
추운 날씨이지만 열심히 법륜사 앞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스님이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무여스님. 무여스님은 여러 절을 돌아다니고 소개하며 개인 채널에 올리고 있다는데...
오늘 촬영할 곳은 법륜사, 음식에도 관심이 많은 무여스님은 이곳에 온 김에 법륜사의 사찰 음식을 배워보려고 한다는데, 법륜사의 덕진스님, 혜운스님과 함께 음식 만들기에 나섰다.
사실 채식하는 스님들에게 말린 나물은 절대 없어서는 안될 귀한 식량이다.
무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말린 무말랭이는 많은 음식의 기본이 되는 채수를 우릴 때 넣으면 맛이 좋다.
이 채수를 활용해서 시래기 감자탕을 만든다는데, 흔히 시래기 감자탕을 떠올리면 고기가 들어갔다고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절에서는 특별히 시래기와 감자만을 넣은 시래기감자탕을 만든다.
스님들에게도 고기를 대체하는 식자재가 있으니 바로 표고버섯이다.
덕진스님이 자신있는 음식 중 하나인 표고버섯강정을 만든다는데, 불린 표고버섯에 찹쌀가루를 무쳐 튀긴다.
거기에 고추장 양념을 넣고 볶아주면 영양 만점 표고버섯강정이 완성...
게다기 겨울철 빼놓을 수 없는 무왁저지와 묵나물 전까기 만든다는데, 올해는 모두가 밥 한 끼 같이 할 수 있는 날이 오길 바라는 스님들의 최고의 보양식을 맛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