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의 ”
2022년 3월 18일 금요일 밤 9시 50분 방송
# 특집 명의 15년
* 국민주치의 명의 방송 시작한 지 15년
* 15년간 축적된 정확한 고급 건강정보
*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6개의 질환을 선정
* 그 첫 편 세계 최고 치료율을 자랑하는 한국의 위암 치료
2007년 3월 “국민 주치의”를 표방하며 시작된 EBS 명의가 올해로 15주년을 맞이했다.
각종 의학 정보 프로그램과 쇼닥터, 넘쳐나는 가짜뉴스 속에서도 바르고 정확한 고급 건강정보와 국내 최고 의사들의 노력, 그리고 의학의 발전을 담아온 명의는 약 750여 회, 200여 개의 질환을 방송하며, 명실공히 국민 주치의가 되었다.
국내 암 환자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던 2011년부터는 “한국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10암”을 비롯해 “재발과 전이가 잘 되는 암:등 암과 관련된 시리즈를 방송해 암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였으며, 당뇨나 고혈압 등 생활 습관병에 관심이 높아지던 2017년부터는 한국인의 성인병, 노화와 비만, 척추질환과 인공 관절 등을 제작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희귀질환, 이식 등 대중적이지는 않지만, 전문적인 의학 정보가 꼭 필요한 다양한 질환들을 다루었으며, 지역에서 애쓰는 명의들을 찾아갔다.
그리고 표적 항암 치료, 첨단 수술법, 다학제 진료등 치료의 패러타임을 바꿔온 최고의 의사들을 소개해 왔다.
15주년을 맞아 그동안 ”명의“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던 6개의 질환을 선정해 15년간 치료의 명의의 활동을 정리해 보고, 명의를 통해 새로운 삶을 찾은 환자들을 만나 본다.
1부 위암 치료, 이렇게 달라졌다
2부 치매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뀐다
3부 만성 콩팥병 치료, 어디까지 왔나?
4부 퇴행성관절염, 다시 걷는 사람들
5부 간, 완치에 도전하다
6부 허리통증을 잡아라
# 두 번째 치매 치료
고령화 사회. 60세 이상 노년층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치매.
그것은 바로 치매가 불치의 병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에 의해 처음 발견된 알츠하이머병...
아직도 인류가 완전히 정복하지 못한 질병이다.
그런데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있다는데, 과연 무엇일까?
치매 정복을 위해 끊이없는 연구로 답을 찾아 나가고 있는 의료진들.
과연 치매 치료는 어디까지 왔을까?
# 치매 전문가들이 말하는 치매 치료의 핵심은?
최초의 알츠하이머병 발견 이후 100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러나 완벽한 치료제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 그럼 치매 치료는 포기해야 하는 걸까?
전문가들은 치매 치료의 중요한 핵심을 발견했다.
그것은 바로 조기 진단과 예방, 과거에는 사후 뇌 부검을 통해서만 알츠하이머병의 여부를 알 수 있었다면 이제는 영상만으로도 치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아밀로이드 – 베타 단백이 침착될 경우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데, 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침착을 확인할 수 있는 ”아밀로이드 PET검사“가 개발된 것이다.
이처럼 핵의학 영상의 발전으로 치매 진단의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었는데 이로써 치매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치매 치료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치매 예방을 위해선 경도인지장애 단계를 주목해야 하는데 운동과 인지 활동, 좋은 식습관 등을 실천할 경우 1/3환자에서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매 치료의 시작은 바로 치매 예방을 위한 노력. 어떻게 실천하는 것이 좋을 까?
# 치매 치료 약제 어디까지 왔을까?
치매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경도인지장애...
치매와 노화의 중간 사이인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가는 것을 막는 골든타임이다.
최근 이른 시기부터 치맥 약을 복용할 경우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데,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양이 줄어들지 않도록 해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근본적인 치료는 뇌 속에 침착돼 치매를 유발하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미국 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을 받은 약이 드디어 등장했다.
바로 ”아두카누맙“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직접 제거하는 약으로 치매 초기나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서 효과를 보인다.
아두카누맙을 시작으로 상용화가 가능한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인 연구진들...
불가능이라 여겼던 치매 치료제의 꿈이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왔다.
치매 치료를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도전을 지속해온 의료진들과 치매를 극복하기 위해 오랜시간 질병과 싸워온 환자들의 이야기...
이와 함께 더불어 치매 치료의 발전 과정도 함께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