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의 805회 ”
2023년 2월 17일 금요일 밤 9시 50분 방송
# 다리가 아픈데 왜 허리가 문제일까?
2월 17일 방송하는 “명의”에서는 조금만 걸어도 서서히 올라오는 엉덩이와 다리 통증, 10명 중 8명이 살면서 평생 한 번은 반드시 겪는 척추 질환에 대한 방송을 한다.
너무나 당연하게만 여겨왔던 건강하게 걷고 생활하는 일상, 그러나 10m 걷는 것조차 버거워 몇 번씩 쉬면서 가야 하는 고통을 이전에는 상상해본 적이나 있을까?
다리가 아파 걷는 것조차 힘들어진 삶, 그러나 이 통증의 원인은 다리가 아닌 허리에 있다.
언젠가부터 다리의 통증이 조금씩 생겼다면, 엉덩이나 다리에 저릿한 증상이 있다면, 허리나 다리에 힘이 안들어간다면 이전보다 걷는게 불편해 쉬어야 한다면 더 늦기 전에 허리가 보내는 이 경고로부터 당신의 허리를 지켜야 한다.
# 10년만이라도 걸으며 살 수 있다면
70대로는 보이지 않는 외모의 한 여성, 젊은 외모만큼이나 건강하게 살기 위해 매일 게이트볼을 치며 지내고 있다.
열심히 치다가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의자를 찾아 앉아서 게이트볼을 치는 다른 또래를 바라볼 수 밖에 없다.
누워 있어도 가만히 있어도 걸어도 끊이지 않는 허리 통증, 차라리 몸을 움직여서 잠깐이라도 고통을 잊고 싶은게 그녀가 허리통증를 무릅쓰고 운동하는 이유다.
100세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오래 살지를 고민하고 있지만, “수술하고 10년만이라도 맘대로 걷다 갈 수 있다면 여한이 없겠다”는 것이 그녀의 바람이다.
“교수님 그냥 수술하고 싶어요...” 결국 고통보다 수술을 택한 그녀. 과연 수술후에 삶을 찾을 수 있을까?
# 걸어서 제주도 사는 아들 집 가보는 게 소원이에요
5분이면 걸어갈 수 있는 거리를 10분이 지나도 도착하고 있지 못하는 한 남성.
많은 인파 속 홀로 인파 속 곳을 겨우 찾아 앉아서는 다리를 두드리며 하염없이 쉬고 있다.
최근 걷는 게 힘들어졌다는 이 남성은 이를 악물고 걸어도 10m를 쉬지 않고 걷는 것이 버겁기만 하다.
버스 정류장에서 집까지의 거리는 약 800m. 그 길을 최소 서너 번은 앉아서 쉬며 허리를 펴고 뼈를 맞추어야 겨우 다시 걸을 수 있다.
그가 병원에서 진단받은 병명은 척추 퇴행성 질환 중 다소 생소한 이름인 “이것”무사히 수술을 마치면 아들이 있는 제주도에 놀러 가는 것이 그의 꿈이다.
다시 걷기 위한 그의 여정을 만나본다.
# 허리가 주로 아프다면
젊었을 때는 허리 아픈 줄 모르고 건강하게 지냈지만, 갱년기가 지나며 서서히 허리가 아프기 시작한 한 여성. 부엌 싱크대 아래에서 냄비를 꺼낼 때 냉장고 아래 칸을 열 때, 장을 보고 올 때 주부로서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통증을 느끼나, 이 고통을 제대로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 답답하고 울적하다.
이런 고통의 원인이라도 정확하게 알고자 하는 마음에 찾아간 병원 김주한 교수가 살핀 바로는 다른 척추관 협착증, 전방 전위증 환자들과 달리 다리 통증이 거의 없이 허리 통증을 주로 호소하는 것이 이여성의 특징이다.
# 척추관협착증 #
요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지면 척수의 척수 신경과 혈관이 압박되어 다리가 저리거나 통증이 생긴다.
척추관협착증 증상은 오르막길보다 내리막길에서 더 잘 나타나며 상태가 악화되면 잠시 서 있거나 조금만 걸어도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X-레이, MRI, CT 스캔으로 진단을 확인할 수 있다.
# 전방 전위증 #
요추 전방전위증은 하나의 척추가 여기에 인접하는 밑의 척추에 비해 정상적인 정렬을 이루지 못하고 앞으로 빠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요추 전방전위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어러가지가 있다.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지만, 허리의 아래쪽 부위(하부 요추)에서 많이 발생한다.
증상: 허리통증, 다리가 저리고 아픔, 자세이상
요추 전방전위증으로 척추뼈가 어긋난 상태는 X-레이 검사에 잘 나타난다.
증상이 심한 환자는 신경이 얼마나 눌렸는지,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지, 어떤 범위를 수술해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 MRI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다음백과 출처)
# 김주한 교수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그렇다면 이 여성의 허리 통증은 무엇이 문제일까?
신경외과 명의 김주한 교수가 퇴행성 척추 질환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